이것은 촉각적 이미지입니까? 차례를 지내고 돌아온 / 구두 밑바닥에 / 고향의 저문 강물소리만 묻어 있다 / 겨울보리 파랗게 꽂힌 강둑에서 / 살얼음만 몇 발자국 밟고 왔는데 / 쑥골 상엿집 흰 눈 속을 넘을 때도 / 골목 앞 보세점 흐린 불빛 아래서도 / 찰랑찰랑 강물소리가 들린다 / 내 귀는 얼어 / 한 소절도 듣지 못한 강물소리를 / 구두 혼자 어떻게 듣고 왔을까 / 구두는 지금 황혼 / 뒤축의 꿈이 몇 번 수습되고 / 지난 가을 터진 가슴의 어둠 새로 / 누군가의 살아있는 오늘의 부끄러운 촉수가 / 싸리 유채 꽃잎처럼 꿈틀댄다 / 고향 텃밭의 허름한 꽃과 어둠과 / 구두는 초면 나는 구면 / 건성으로 겨울을 보내고 돌아온 내게 / 고향은 꽃잎 하나 바람 한 점 꾸려주지 않고 / 영하 속을 흔들리며..
(이 글은 다음 질문에 대한 답변 글입니다. 질문 글은 이 글이 끝나는 부분으로 옮겨 놓았습니다.) 이 표현은 역설입니까? 하늘의 무지개를 볼 때마다 / 내 가슴 설레느니, // 나 어린 시절에 그러했고 / 다 자란 오늘에도 매한가지. / 쉰 예순에도 그렇지 못하다면 / 차라리 죽음이 나으리라. // 아이는 어른의 아버지 / 바라노니 나의 하루하루가 / 자연의 믿음에 매어지고자 // 내 대답은 '아닙니다'입니다. 이제 그 까닭과 함께 '역설'의 인식적, 표현적 특성에 대해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이 블로그에는 역설에 관한 몇몇 글이 있습니다. 검색을 통해 함께 읽어 보시기를 권합니다. 유튜브 콘텐츠는 아니지만, 구독도 권해 드립니다. 나의 노트북 속 조각 문서 파일들로 있던 것들을 공유하기 위해 수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