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지리학] 김소월, 백석, 이용악과 문학지리
('국어과융합수업세미나'의 강의 중 '문학지리학'에 관한 내용을 시연자료를 기준으로 올려놓습니다. 강연 내용은 채록하여 추가로 올려놓겠습니다.)
('국어과융합수업세미나'의 강의 중 '문학지리학'에 관한 내용을 시연자료를 기준으로 올려놓습니다. 강연 내용은 채록하여 추가로 올려놓겠습니다.)
댓글에 질문을 남겨 두시면 시간이 될 때마다 주제글로 옮겨 답을 해 드리겠습니다. 현대시, 문학, 문학교육에 관한 궁금증이면 함께 풀어 보도록 해요. 물론 제가 답할 수 없는 것들도 많겠지요. 그것도 함께 공부하면서 함께 답을 만들어 보았으면 합니다. 아래 댓글에 글 남겨 주세요.
11월 24일에는 한국어교육학회가 주최하는 학술대회가 서울대학교에서 열렸다. 주제는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인성교육의 방향'이었나? 불과 어제 일인데 잘 생각 나지 않는 것은 그 나름의 사연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 글을 읽어 보면 안다.참, 이 날 강원대 김풍기 선생님이 나 때문에 고생했다. 정확히는 그 전날 고생한 것이지만.... 감사드린다. ----------------------------------------------------------------- 창의․인성 교육의 의제 설정이 문학교육에 던지는 질문최지현(서원대학교) 논의의 출발점 ‘창의・인성 교육’이라는 교과부발 의제가 학술적 연구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이에 앞서 ‘교과 교실제’, ‘블럭 타임제’ 같은 교실 변혁 요소들이 ..
텍스트 이해는 언제나 해석학적 접근의 문제의식과 만난다. 이와 관련하여 나의 관점은 ‘문학적 이해’(혹은 ‘예술적 이해’)가 작품에 의미의 객관적 기반을 둔다고 보는 허쉬(Hirsch, E.D. 1988)의 관점과는 거리를 둔다. 해석의 타당한 근거를 마련해 두고자 했던 허쉬는 ‘의도의 오류’를 지적한 윔셋과 비어즐리(Wimsatt, W. K & Beardsley, C., 1972)와는 달리 역사적 변화에 영향 받지 않는 일종의 이상적 대상(eidos)으로서 의도를 설정하고, 이러한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유일하게 바른 이해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그는 독자들이 서로 다른 조망에서 다른 이해에 도달하게 되는 것은 작품의 ‘의의(significance)’에 접근하는 것으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
문학 감상은 일반적으로 개인의 내면적 체험 과정으로 설명된다. 이렇게 본다면, 문학교육은 개별화 학습을 전제로 교수학습을 설계해야 옳다. 하지만 교육적 상황이라는 특수성, 즉 학습 독자가 적절한 문학적 체험을 하지 못하고, 이것이 문학 감상 교육을 요구한다는 특수한 상황성을 고려한다면, 상호작용의 교수학습적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많은 경우, 문학 교수학습의 상호작용은 활동 차원에서 이해되곤 한다. 활동은 학습을 뒷받침하기는 해도, 보장하지는 않는다. 문학 감상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하면, 이는 다음 세 가지 중 하나의 과정을 경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이해의 기반에 다양성이나 보편성의 맥락이 자리잡고 있고 학습자는 이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획득한다. ..
아래 글은 방문교수로 캐나다가 머물던 2004년 5월 22일 리테두넷(litedu.net)에 올린 글입니다. 플랫폼 변경으로 인해 이곳으로 옮겨 둡니다. 이 글의 제목을 퀸 메리 초등학교(Queen Mary Elementary School)의 평화교육이라고 달아야 하나...괜히 부풀려 글을 쓰는 건 아닌가... 하고 잠시 고민을 했다가 그대로 가기로 했습니다. 근처에 있는 유힐(University Hill Elementary School)에서도 같은 걸 봤기 때문이지요. 그게 이겁니다. 딸아이가 다니는 학교는 퀸메리 초등학교(Queen Mary Elementary School)입니다. 1학년부터 7학년까지 있고 학년당 20여 명 단위의 두 개 학급이 있어서 전체 학생수가 300여 명쯤 됩니다. 이곳 밴쿠..
아래 글은 2003년 11월 23일에 리테두넷(litedu.net)에 올렸던 글로 플랫폼 변경으로 인해 이곳으로 옮기면서 제목을 수정했습니다. 첨부 사진은 웨스트 밴쿠버(보통 밴쿠버 시라고 합니다.)에 있는 Queen Mary Elementaryt School의 Grade 4 문학 관련 수업의 첫 학기 교수 계획입니다. 학급의 담임교사인 Ms. Nordman이 작성하여 배포한 자료입니다. 이 문서를 보면 한국식의 교과서가 따로 정해져 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사회주의적인 듯한 느낌이 들기는 하지만, 극성한 자본주의 국가 옆에 붙어 있는 이 자본주의 국가는 교과서 개발에 들어가는 비용을 교과서 비용에 반영하기 때문에 개인이 구입하기에는 너무 비쌉니다.) 그 대신 아동을 위한 소설 한 권이 한 학기 ..
아래 글은 2006년 9월 11일 리테두넷(litedu.net)에 올린 글을 플랫폼 변경으로 인해 이곳으로 옮겨 둔 것입니다. 원래는 한국문학교육학회 10주년 기념 학술대회 주제 발표 내용이었습니다만, 따로 기념은 하지 않기로 해서 그냥 43회 학술대회 기획 발표 주제가 되어 버렸습니다. 학교 현장에 대한 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을 병행한 이 연구는 '성공적인 실패는 성공이다'라는 당초 제 입장을 배려해 주는 듯... 비교적 성공적인 실패였습니다.(??) 몇 가지 이유가 있었습니다만, 역시 현장의 여건이 생각보다 더 열악했습니다. 그것 말고도 또 다른 이유가 있었는데, 참여 관찰자들의 사고 프레임이 문학교사의 인지 여부에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는 점입니다. 이건 사실 당연한 것입니다. 문제는 이 사고 프레임을..
아래 글은 2006년 7월 3일에 리테두넷(litedu.net)에 썼던 것입니다. 플랫폼 변경으로 이곳으로 옮겨 둡니다. 지난 5월에는 저의 제자들이 교육실습을 다녀왔습니다. 교육실습이라는 제도가 교사가 되기 위한 사범대학생(과 교직과정 이수 중인 예비교사들)이 교육 현장의 실제 교육 상황을 이해하고, 배운 바 교육 이론들을 적용해 보며,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실무적으로 익히는 교육과정으로서 의미가 있기에, 저도 몇 가지 부가적인 과제들을 내 주었더랬습니다. 그 중 하나가 '문학교사는 존재하는가?' 하는 과제였습니다. 문학교사는 존재할까요? 이 질문을 제가 왜 던졌을까요? 우리는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문학을 가르칩니다. '문학적인 것'을 가르치는 것인지, '문학하는 것'을 가르치는 것인지, 혹은 '문학 행위..
새국어교육 89호(한국국어교육학회, 2012.01)에 실린 논문입니다. 표를 반영하기가 어려워서 파일 첨부로 제공합니다. 차례 1. 이끄는 글 2. 이론의 지위와 성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3. 실천적 이론과 이론의 실천성 4. 문학교육 담론 간의 소통 구조와 실천성의 정립 5. 맺는 글 : 어떤 이론적 주제를 다룰 것인가 1. 이끄는 글 본고는 문학교육의 이론이 지닌 실천적 의의, 혹은 문제에 관한 최근까지의 논란들을 점검해 볼 목적을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 문학교육 이론이 교육 현장에서 이론으로서 기능하고 있는지에 대한 학술 담론계와 교육 담론계 사이의 상이한 이해와 평가를 점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논란의 출발점에는 문학교육 이론이 적합한 실천적 지침을 주지 않고 공허한 이론적 논의에 머물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