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20일 충북대에서 열린 제121차 한국국어교육학회 전국학술대회의 기조 강연 내용입니다. 이 학회의 주제는 "언어 패러다임의 변화와 한국어 교육"이었습니다. 제 발표에 앞서 화학자인 서강대 이덕환 교수님의 "과학과 과학교육에서 언어의 역할"이라는 강연이 있었는데, 저는 그게 더 좋았다는..... 시쳇말로 입사 전부터 '개념과 용어의 중요성'을 강조해 오던 제 입장에서는 교육과정용어의 선정과 체계화에 관한 좋은 단서도 얻었고 다른 언어(이를테면 과학 언어)의 국어교육 내 수용 방식에 대한 고민을 해 볼 기회도 되었더랬습니다. 뭐, 그에 비하면 제 얘기는 그냥.... 원래는 전체 주제도 있고 해서 과연 국어교육의 패러다임은 언어 패러다임의 변화를 따르는 것인지, 언어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라는 것..
새국어교육 89호(한국국어교육학회, 2012.01)에 실린 논문입니다. 표를 반영하기가 어려워서 파일 첨부로 제공합니다. 차례 1. 이끄는 글 2. 이론의 지위와 성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3. 실천적 이론과 이론의 실천성 4. 문학교육 담론 간의 소통 구조와 실천성의 정립 5. 맺는 글 : 어떤 이론적 주제를 다룰 것인가 1. 이끄는 글 본고는 문학교육의 이론이 지닌 실천적 의의, 혹은 문제에 관한 최근까지의 논란들을 점검해 볼 목적을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 문학교육 이론이 교육 현장에서 이론으로서 기능하고 있는지에 대한 학술 담론계와 교육 담론계 사이의 상이한 이해와 평가를 점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논란의 출발점에는 문학교육 이론이 적합한 실천적 지침을 주지 않고 공허한 이론적 논의에 머물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