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교육학회

공부를 위한 준비/단서들

[발표 준비용] 문학교육학 게재 논문들 (2015-2017)

문학교육학 57(2017.12) 일반 논문■ 문학 사회사적 측면에서 본 15~16세기 소설독서문화 연구 / 김미정 9■ 트릭스터 정만서의 말하기 방식과 상상력 발현 / 신동흔 53■ 재외동포 학습자를 위한 ‘정체성’ 교육 방안 연구-윤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 조수진 87■ 국어교육의 문학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조하연 117■ 진채선의 활동과 기생점고 대목의 의미 / 최혜진 153자유논문■ 영화만들기를 활용한 교양교육 수업 사례와 성과 연구 / 강옥희 181■ ‘자기 됨’을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원형심리학적 접근 시론 / 최인자 215 문학교육학 56(2017.9)일반 논문■ 문학 기반 융복합형 논술 문항 개발 시고 / 정재찬 9 문학교육학 55(2017.6)일반 논문■ 국어과 교육과정 문해력의 관점에서..

공부 중/문학교육

[단상] 문학교사, 존재하는가... 그후 (스크랩)

아래 글은 2006년 9월 11일 리테두넷(litedu.net)에 올린 글을 플랫폼 변경으로 인해 이곳으로 옮겨 둔 것입니다. 원래는 한국문학교육학회 10주년 기념 학술대회 주제 발표 내용이었습니다만, 따로 기념은 하지 않기로 해서 그냥 43회 학술대회 기획 발표 주제가 되어 버렸습니다. 학교 현장에 대한 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을 병행한 이 연구는 '성공적인 실패는 성공이다'라는 당초 제 입장을 배려해 주는 듯... 비교적 성공적인 실패였습니다.(??) 몇 가지 이유가 있었습니다만, 역시 현장의 여건이 생각보다 더 열악했습니다. 그것 말고도 또 다른 이유가 있었는데, 참여 관찰자들의 사고 프레임이 문학교사의 인지 여부에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는 점입니다. 이건 사실 당연한 것입니다. 문제는 이 사고 프레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