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수의 그림
신영복
나와 같이 징역살이를 한 노인 목수 한분이 있었습니다.
언젠가 그 노인이 내게 무얼 설명하면서 땅바닥에 집을 그렸습니다. 그 그림에서 내가 받은 충격인 잊을 수 없습니다. 집을 그리는 순서가 판이하였기 때문입니다. 지붕부터 그리는 우리들의 순서와는 거꾸로였습니다. 먼저 주춧돌을 그린 다음 기둥․도리․들보․서까래․지붕의 순서로 그렸습니다. 그가 집을 그리는 순서는 집을 짓는 순서였습니다. 일하는 사람의 그림이었습니다.
세상에 지붕부터 지을 수 있는 집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붕부터 그려온 나의 무심함이 부끄러웠습니다. 나의 서가가 한꺼번에 무너지는 낭패감이었습니다.
나는 지급도 책을 읽다가‘건축’이라는 단어를 만나면 한동안 그 노인의 얼굴을 상기합니다.
(아래는 다른 부분)
차치리라는 사람이 어느 날 장에 신발을 서러 가기 위하여 발의 크기를 본으로 떴습니다. 이를테면 종이 위에 발을 올려놓고 발의 윤곽을 그렸습니다. 한자로 그것을 탁(度)이라 합니다. 그러나 막상 그가 장에 갈 때는 깜박 잊고 탁을 집에 두고 온 것을 깨닫고는 탁을 가지러 집으로 되돌아갔습니다. 제법 먼 길을 되돌아가서 탁을 가지고 다시 장에 도착하였을 때는 이미 장이 파하고 난 뒤였습니다. 그 사연을 듣고는 사람들이 말했습니다.
“탁을 가지러 집에까지 갈 필요가 어디 있소. 당신의 발로 신어 보면 될 일이 아니오.”
차치리가 대답했습니다.
“아무려면 발이 탁만큼 정확하겠습니까?”
주춧돌부터 집을 그리던 노인이 발로 신어보고 신발을 사는 사람이라면 나는 탁을 가지러 집으로 가는 사람이었습니다.
- [나무야 나무야] 중에서
'공부를 위한 준비 > 작품 더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품 읽기] 이육사의 '절정'에 대한 허무주의적 읽기는 가능할까(이육사의 '절정') (0) | 2013.06.25 |
---|---|
[시] 윌리엄 워즈워드, 외로운 추수꾼 (0) | 2012.09.28 |
[시] 문정희, 꽃 한 송이 (0) | 2012.02.10 |
[작품 읽기] 이형기의 '폭포'와 김수영의 '폭포'에 대한 해석 (0) | 2012.01.15 |
[작품읽기] 오버한 스키마 : '옆'을 '앞'으로 읽으니까 (0) | 2011.12.01 |
[매체] 부활의 '소나기', 황순원의 '소나기' (0) | 2011.05.24 |
[매체] 신경림, '가난한 사랑 노래', 김범수, '비가 와' (0) | 2011.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