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ㅎ1. 기초 문식성 교육과 실행 기반
1.1. 교육부의 기초 학력 지원 교육 강화 추진 배경
- 교육부에서는 저출산으로 인한 학생수 급감에 따른 국가 경쟁력 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최대한 발현시키기 위한 교육 지원책을 마련해 왔다. 특히 초기 단계의 학습부진 문제로 교육에 흥미를 잃는 학생수가 증가하는 문제를 막기 위해 조기 진단과 보정을 강화하고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교육 지원 및 관리 체제를 체계화하기 위해 기초학력지원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 기초학력 지원을 위한 정책 및 사업은 2010년 전후부터 시작되었지만, 연차적으로 시행되는 학업성취도 평가에 따르면 대상 학생 중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 이에 대한 학교의 대응력은 충분치 않고 특히 학습부진을 조기에 예방하기 위한 교원의 역량을 지원하는 교육과정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초기 독서력은 학습능력과 가장 밀접하게 대응되고 있어서 기초학력의 중점 영역이 읽기, 쓰기, 셈하기 중 가장 비중이 크다.
1.2. 마을 학습 공동체
- 기초문식성 습득기에 가정 독서환경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림책, 동화책, 글자카드 등은 글을 배우기 이전에 이미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를 연결하는 교육 매개 환경으로서 기능한다. 이때 부모의 역할이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한부모 가정이나 맞벌이 부모를 둔 가정에서와 같이 가정 독서환경이 충분치 않다면 공동체가 그 역할을 수행해 주어야 한다. (학교는 이와 별개의 기능을 수행한다.)
- 전통사회에서 교육기구의 기능을 수행해 왔던 마을공동체는 근대사회로 전환된 이후부터는 그 기능이 약화되어 버렸지만, 오늘날 공동체의 기본 단위로서 '마을의 회복' 문제가 다시 주목 받고 있다. 마을학습공동체는 후기 근대사회에까지도 가정이 담당했던 인성, 진로 교육의 일부를 (가정이 감당할 수 없게 된 이후로) 학교와 분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참조 : 마을교육공동체란 무엇인가 - 탄생, 뿌리 그리고 나침반 (tistory.com)
- 참조 : 충청북도교육청, 지속가능한 충북마을교육공동체를 위한 성장지표개발
- 충청북도교육청은 충북행복교육지구를 설정하여 그 중심에 마을교육공동체를 두고 이를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의 참여와 협력에 기반한 지역사회 아동, 청소년 성장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이것은 매우 좋은 기획이고, 실효성을 아직 갖추지 못하고 있는 불완전한 실행이다.)
1.3. 지역 도서관
- 지역 도서관은 국가 도서관이나 학교 도서관, 또는 전문화된 특수 도서관 등을 제외하고 지역 단위에서 공공성을 갖추고 설립되어 운영되는 도서관 형태를 말한다. 시도 단위보다는 시군구 단위의 지역 도서관이, 시군구 단위의 지역 도서관보다는 마을 도서관이 마을학습공동체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 민간 교육 단체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마을교육공동체'의 실천 성과 지표는 충북교육청 자체 정량평가로는 2020년을 기준으로 대부분 목표 달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안정적인 하드웨어적인 중심(프로그램이 없는 시간이라도 공동체적 중심을 구성할 수 있게 하는 커뮤니티 베이스)이 없어서 불안정한 측면을 갖는다. 마을 도서관이 마을학습공동체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www.libsta.go.kr/libportal/libStats/mainStats/getMainStatsList.do)의 정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약 1,134개(2019년 기준)의 지역 공공 도서관이 있다.
- 주요 국가와 비교하면 그 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난다.
- 하지만 공공 도서관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미국의 경우는 town library가 포함되어 있다. 보통 커뮤니티 라이브러리라고 부르는 곳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마을도서관은 아래와 같은 현황을 가지고 있다.
- 이렇게 보면 인구 대비로 하더라도 도서관 수가 적은 것은 아니다. 다만, 도서관 장서수나 방문자 대출 도서 수로 보면 특이한 점이 발견된다.
- 도서 수는 많이 적은 편이고, 방문객 수와 도서 대출 수도 적어서 하루 20명 정도 방문에 그 중 절반 정도만 대출을 하는 체제이다. 도서 대출이 목적이라기보다는 현장 열람이나 독서 공간 활용이 주된 기능 중 하나임을 짐작할 수 있다.
- 마을학습공동체의 중심이 되기에는 어딘지 기능이 충분치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판단 근거를 얻기 위해 각 시도 교육청이 주관하고 있는 지역 교육도서관을 살펴보면,
- 예컨대 충북교육도서관의 경우 기존의 도서관 주요 업무인 장서 업무 외에 학교 교육 지원 업무와 함께 자체 교육 프로그램 운영 업무가 큰 비중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며, 도서관 조직에서도 문헌정보관리를 위해 소요되는 인력보다 많은 인력이 독서교육진흥과 학교도서관지원에 투입되고 있기도 하다. 말하자면, 도서관의 주된 기능이 도서 대출, 수납 관리로부터 독서 교육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이다.
- 이 변화를 마을 도서관에 대응시켜 보면, 마을 도서관의 장서 문제는 부차적인 것이 되고 그 대신 마을 도서관에서의 독서 교육이 중요한 이슈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부 중 > 문식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념] 배경지식 : 배틀그라운드로 월드컵 상황을 그려보니.... (0) | 2018.06.25 |
---|---|
작문 교사가 생각해야 할 열 가지 (0) | 2014.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