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공부

공부를 위한 준비/문학적 주제들

[문학공부] 진술이 균열되어 있을 때 역설이 발생하는가

재호 군의 '빈 자리' 개념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하자, 민웅 군이 이 개념을 역설과 관련지어 생각하고는 또 질문을 했습니다. 그래서 거기에 대해서도 답을 해 주었습니다. ---------------------------------------- 선생님!!^^, 문학텍스트의 빈자리로 인해 역설도 생긴다고 봐도 될까요? 또한 복합적 정서가 나타날 수도 있는 거죠?(어제 공부한 건데..맞길 바라면서..ㅠㅠ) ---------------------------------------- 내가 '빈자리' 개념이 전제가 필요하다... 이렇게 말한 까닭을 생각해 봐라. 나는 이 결혼 반댈세 하는 태도가 느껴지지 않니? 빈자리는 본질적으로 저자(시인)의 진술에 담긴 진정성과 실체성을 인정하는 개념이야. 쉽게 말하자면, "독자..

공부를 위한 준비/문학범주

[문학범주] 단편서사시와 이야기시에 대해서

또 이런 질문이 있었어요. 작년 10월에 선생님께서 현대시 특강을 해주셨는데, 그 때 자료를 보면 전라도 가시내(이용악)에 대한 설명에서 서사적 구성>이야기시 : 이야기시의 특징은 이야기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함축하고 있는 것. 이렇게 되어있어요. 그렇다면 전라도 가시내는 단편 서사시로 보나요. 이야기시로 보나요? 둘 다? 이용악의 또 다른 시 오랑캐꽃은 전형적인 이야기시라고 설명을 해주셨는데, 이 시 역시 단편 서사시라고도 할 수 있는 거예요? * 결국 단편 서사시와 이야기시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인지, 같은 개념으로 보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두산동아(현대시)의 설명을 보면 단편 서사시와 이야기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어요. 단편 서사시 단편 서사시란, 1930년대 프로시가 당대 현실에 대..

공부를 위한 준비/문학적 주제들

[문학공부] 어떻게 하면 현대시를 잘할 수 있을까요?

이런 질문을 받았을 때, 난감하지요. "현대시를 잘한다." 이 말의 뜻을 무엇일까요? 어쩌면 이 질문을 던진 학급의 아이는 어떻게 하면 현대시에 관한 시험 문제를 잘 풀 수 있겠느냐는 궁금증을 가졌을 법합니다. 어쩌면 그 아이는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물었을 수도 있고, 혹시나 시를 잘 쓰는 방법을 물었을지도 모르겠네요. 이 질문을 받은, 실습 나갔던 학생이 내게 던졌던 질문이 예전 게시판에 올라와 있더라구요. 그에 대한 내 답변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 나도 여태 그걸 잘 모르겠다. 6(=.=) 내 나름으로 정리한 바로는 체험하라. 체험을 위해서는 상상하라. 상상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상황을 구..

공부를 위한 준비/문학적 주제들

[문학공부] 대화 중심 문학 교수학습에 관한 담화 1

강창원 님의 말 : 바쁘신데 죄송합니다. 강창원 님의 말 : 질문하나드려도 될까요? 오리무중_미운오리 님의 말 : 어떤 죄송함이냐? 강창원 님의 말 : 느닷없는 질문에 죄송합입니다. 오리무중_미운오리 님의 말 : 아이는 몇 살이고? 강창원 님의 말 : 22개월입니다. 오리무중_미운오리 님의 말 : 오른쪽 사진 ㅋㅋㅋ 강창원 님의 말 : 선생님 오리무중_미운오리 님의 말 : ㅇ 강창원 님의 말 : 제가 요즘 '대화'에 관심이 많은데요 강창원 님의 말 : 대화에 관련된 공부를 하려면 어떤 책을 살펴봐야 할까요? 강창원 님의 말 : 시작은 바흐친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강창원 님의 말 : 최미숙 선생님께서 구분하신 대화에 대하여 오리무중_미운오리 님의 말 : 계속 빨리 써... 강창원 님의 말 : 궁금해서요 오리..

misterious Jay
'문학공부'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