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표현으로서의 전의 "튼튼한 것 속에서 틈은 태어난다" 이 오묘한 음상을 활용한 긴장은 완고해 보이고 잘 치장되어 있는 사회 체제일수록 그 완고함이 만들어내는 불안정한 일체성이 갈등을 증폭시키는 내적 모순으로 작용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 시행에서 '틈'은 결함, 무질서, 갈등, 의도치 않은 과정의 여지 같은 의미를 함축하는 비유로 사용된다. 우리의 경험 세계에서 틈은 형태의 내외 경계 구분이 분명한 둘 이상의 사물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이니, 이 진술은 절반쯤은 납득되고 절반쯤은 이상하게 여겨지는 표현이다. 틈, 김기택 튼튼한 것 속에서 틈은 태어난다 서로 힘차게 껴안고 굳은 철근과 시멘트 속에도 숨쉬고 돌아다닐 길은 있었던 것이다 길고 가는 한 줄 선 속에 빛을 우겨넣고 버팅겨 허리를 펴는 ..
1. 프롤로그 : 비유법, 수사법, 그리고 비유 학교 현장에서 곧잘 인용되는 수사법(또는 수사학)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수사법은 비유법, 강조법, 변화법을 하위 범주로 가진다. (수사법을 다룬 어떤 일본 서적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는데 사실 출처도 명확하지 않고 어떤 논리와 근거에서 이러한 분류 체계를 취했는지 역시 밝혀져 있지 않다고 한다.) 수사법으로 통칭되는 것들은 대부분 이 용어의 영어 표현인 figure of speech가 나타내는 것처럼 전언의 형태와 연관된 특징적인 표현 방식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강조법이니 변화법이니 부르는 것들은 일반적인 어순을 의도적으로 일탈함으로써 문자적 의미가 드러내지 못하는 새로운(이 경우 참신한, 초점화된, 낯설게 보이게 하는) 의미나 뉘앙스를 갖게 한다.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