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책이 나온 지 오래 되니 개정의 필요성이 커졌다.
방법이라는 이름을 붙였던 것은 단지 수업 기술을 정리하기 위함이 아니라 수업의 관점과 원칙을 정립하고자 한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에 '방법론'에 더 가깝다. 그런데 이 방법론의 준거가 되는 '접근(approach)'이 개념적으로 불분명하게 다루어지고(실제로는 다루어지지 않고) '모형'이라는 용어가 대신 무차별적으로 사용되어 기술 층위에서 혼란이 막대해졌다.
이것을 바로잡고 또한 외국 이론의 수입이라는 원죄 아닌 특수 환경을 정당하게 반영하고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내용 조직과 용어 선택이 필요해졌다.
연구물로서의 성격을 분명히 하는 동시에 교재로서의 성격도 유지되어야 하기에 다음과 같은 검토 사항을 먼저 기록해 둔다.
1. 공동 오리엔테이션 :
- 배경 설명(공동 수업의 배경)
- 교과교육에서 교재론과 교수학습방법이 갖는 의미
- 교과목 소개
- 주요 내용 및 강조점(새롭고 창의적인 접근과 적용 예)
2 기본 개념의 이해 :
- 기본 개념(교육, 교수, 학습, 교수학습, 수업, 교수자, 학습자)
- 이론적 도구들(접근, 모형, 방법)
- 내용(지식, 기능, 수행)
3 접근과 모형, 방법
- 접근
- 모형
- 방법
- 기술
4. 국어과 교수학습모형
- 학습 형태에 따른 : 강설, 발견적 대화, 발표/토론과 강평, 노작/수행과 수행평가
- 학습 경험에 따른 : 모방과 강화, 유의미 수용, 탐구와 모색-또는 회의와 검증
- 학습 주체에 따른 : 개별화 학습, 일제식 학습, 협동 학습
5. 교수학습방법 ㅡ 전통적 방법들
- 도제적 학습 지도 : 직접 교수, 비지시적 모방학습
- 현시적 학습 지도 : 발견학습, 교육적 탐구학습
- 유의미 학습 지도 : 암기학습, 가치학습, 토론학습
- 경험적 학습 지도 : 체험학습, 노작학습, 반복학습
6. 교수학습방법 ㅡ 새로운 시도들
- 자기 설계 학습 지도 : 플립러닝, 역설계 학습, 프로젝트 학습
- 팀 학습 지도 : 팀 프로젝트, 전문가 협력 학습, 하브루타 학습
- 전략적 학습 지도 : 게임 학습, 시뮬레이션 학습, 모델링 학습
- 학습방법 지도 : 시각화 학습, 구조화 학습, 학습설계 학습
7. 국어과 수업
- 수업의 체제와 구조
- 수업의 공간과 시간
- 수업의 방법과 전략
- 수업 설계와 준비
- 수업 평가와 발전
8. 교수학습과정안
- 교육과정 분석
- 학습자 요구 분석
- 교재 분석
- 단원 수업의 조직과 구성
- 차시별 수업 계획
- 상호작용 및 발문
- 내용 구조화와 판서
- 형성평가
9. 국어과 학습활동
- 학습활동의 성격
- 학습목표와 학습활동 : 목표능력(또는 도달점 행동), 핵심학습활동, 활동-교재 연계, 활동-
- 학습전략 : 학습목적 인지(연상, 상상), 배경지식 활성화, 학습 단위 결정, 학습 기록 및 포트폴리오 구축, 학습 효과성 평가
- 표준 절차들(standard procedure) : 수업 절차, 과정-목표 절차, 상호작용 절차, 학습 수용 절차
10. 국어과 교수담화
- 설명
- 지시
- 호명
- 발문
- 평가
11. 국어과 수업 - 마이크로티칭
- 도입
- 전개
- 정리
12. 국어과 수업 - 상호 평가
- 동료 평가
- 포트폴리오 평가
- 전문가 평가
13. 현장 참여 학습
- 현장 교사 멘토링
- 현장 참관
- 현장 실습
14. 융합교육
- 범교과 융합교육
- 통합교과 융합교육
- 교과 내적 융합교육
- 탈교과 융합교육
15. 국어과 교사 평가
'공부 중 >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 2023학년도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맡게 될 과목들 (1) | 2022.10.06 |
---|---|
[교육] 교단의 여초 현상? (3) | 2021.02.22 |
[교수법] 융합교육 (0) | 2018.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