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학생이 아래와 같은 문제를 만들었습니다.
------------------------------------------------------------------------------------------------
<제시 작품> 눈(김수영)
ㅇ 물음에 답하시오.
<보기>
(1) 지환 : 유치원에서 안 배웠어요.
요한 : 음... 어... 잘 몰라요. 시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겠어요.
신석 : 저 시에 대해 잘 알아용. 예전에 TV에서 다큐멘터리를 봤거든요.
현영 : 시의 의도를 알 거 같아요. 불의 에 저항하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해.... 저도 답답해요.
(2) 동호 : 눈의 상징적 의미는 3연의 '죽음을 잊어버린 영횬과 육체를 위하여'라는 구절을 통해....
준영 : 작가 김수용은 시대 현실에 대한 비판과 저항 의식을 나타내는 작품을 썼다. 그는 ....
1. (1)은 위 작품에 대한 여러 사람들의 반응이 다른 이유를 생각해 보자.
2. (2)에서의 해석 방법을 비교해 보자. 또한 다른 작품 해석 방법이 없는지 찾아보자.
3. 위의 활동에서 찾은 작품 감상 방법을 바탕으로 위의 시를 해석해 보자.
4. 자신의 해석과 친구들의 해석을 비교해 보자.
------------------------------------------------------------------------------------------------
이 문제는 문학 작품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방법의 수용을 묻는 문제로서 설계되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이 반응이 질적 차별성과 양적 다양성 모두를 보여 주고 있다는 점이지요.
그러니까 반응의 다양성은 그 자체로 옹호될 일은 아니라는 것이겠네요.
이쯤에서 독자 반응 이론의 '반응' 개념이 (1)의 반응들을 어떻게 볼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만하겠어요.
로젠블레트가 위 (1)에 대해 말한다면, 지환, 요한, 신석의 경우는 반응의 부재로 여길 것이니까요.
그리고 현영에 대해서도 연상이라는 말로 평가할 것 같군요.
그렇다면 (독자 반응 이론이라면) 반응의 다양성은 양적 다양성 측면에서만 볼 수 있다는 뜻일까?
또 그렇다면 독자는 어떻게 반응에 이르게 될까?
교사는 이를 어떻게 교육적으로 처치할까?
이에 대해 궁금한 사람은 자신의 생각을 적어 메일 보내 주세요.
답글과 함께 후속글을 올려 드리지요.
ironuim@gmail.com
'공부를 위한 준비 > 문학적 주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공부] 진술이 균열되어 있을 때 역설이 발생하는가 (0) | 2011.09.06 |
---|---|
[문학공부] 빈 자리 (0) | 2011.09.06 |
[문학공부] 어떻게 하면 현대시를 잘할 수 있을까요? (1) | 2011.06.23 |
[문학공부] 질문 생성하기를 통한 문학 평가 (0) | 2011.06.21 |
[문학공부] 시에서 장면의 이해 (0) | 2011.06.20 |
[문학공부] 대화 중심 문학 교수학습에 관한 담화 1 (0) | 2010.02.03 |
[적용] 식물적 상상력 (0) | 2009.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