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렷스랴
모든 山脈들이
바다를 戀慕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犯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光陰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여선 지고
큰 江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나리고
梅花香氣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千古의 뒤에
白馬 타고 오는 超人이 있어
이 曠野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陸史詩集, 1946)
1.
해석은 맥락적 단서가 최소화되더라도 가능한 것부터 시도하면서 확장시키는 것이 합당하다. 전체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국지적으로 표현된 것과 다른 해석을 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은, 말하자면, 다른 해석이 그다지 높은 설명력을 갖지 못할 경우 취하게 되는 ‘유보적 판단’의 경우에 한한다.
2.
이런 점에서 여전히 논란이 끝나지 않은 이 대목,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렷스랴”는 '닭 우는 소리조차 들리지 않았다'로 풀이하는 것이 '닭 우는 소리가 들렸다'보다 더 적절하고 합당하다. 그것은 2연에서 ‘휘달릴 때도’의 ‘도’가 1연과 대응하고 있을 때 그 대응의 관계가 아래와 같이 나타나는 것이다. (천지가 개벽했을 때, 이 엄청난 사건 앞에 어떤 존재가
여기서 빈자리에 놓일 행위의 주체가 무엇이냐가 시 해석의 관건이 된다. 계열축의 관계를 놓고 보면, 이것은 ‘닭’을 통해 뜻하려 한 것과 같으며 따라서 단지 천지 개벽의 신호를 의미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나는 이 부분에서 1연의 대응 관계가 대립적이라고 보기 어렵고 기왕의 해석들이 그러하였듯이 같은 계열축으로 읽혀지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는 점에서 이 대응의 전자와 후자를 각기 우주적 차원과 역사적 차원으로 연결시켰으리라 추정한다. 그렇다면 이 빈자리는 민족이 되었든, 문명이 되었든, 혹은 인류가 되었든 간에, 우주적 차원의 흐름을 침범하지 못하고(간섭할 수 없고) 그보다는 그 우주적 차원의 흐름을 재연해 보여주는, 그에 종속된 또 다른 추동체가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해석은 3연에 의해 다시 뒷받침된다. 3연의 구도는 우주적 차원과 역사적 차원의 대응이 접점을 이루는, 즉 조응하는 국면을 보여준다.
굉음과 강물이 보편적인 은유 관계에 있기 때문에 2연까지의 대응 관계는 역사적 차원의 ‘독자적이면서도 또한 종속적인’ ― 풀이하자면, 역사는 그 자체의 추동력을 갖고 있지만, 그것의 추동 방향(필연성)은 우주적 차원에 의해 관장되는 ― 존재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제부터 시의 전체 국면에 이 조응의 원리가 작동하게 된다.
4연에서 ‘눈’은 후경이다. 곧 아득한 매화 향기를 전경화하는 존재이다. 그러니 그것이 시련의 상징이 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눈’과 ‘매화’는 또한 우주적 공간 속에서 만들어지는 우주적 시간이다. 그것에 ‘내’가 온전히 조응한다. 그러니 또한 ‘내’ 앞에 역사적 시련을 상정해 두기도 어려운 노릇이다. 오히려 이 맥락에서 ‘가난한 노래의 씨’는 ‘내’게 부여된 소명 같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5연의 “다시 千古의 뒤에 / 白馬 타고 오는 超人”은 ‘먼 미래’의 사건도 아니고, ‘나’의 행위가 결과할 역사적 전망도 아니며, 오히려 ‘가난한 노래의 씨’에 대한 우주적 차원의 반향이라고 보는 편이 더 합당하다.
말하자면 ‘千古’는 우주적 시간이고, ‘白馬 타고 오는 超人’은 우주적 주재자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3.
이상의 해석에서 설명이 약한 것은 ‘가난한 노래’와 ‘이 曠野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하는 대목이다. 이것은 명백히 계열체를 이루고 있고(노래 - 노래), 따라서 그냥 지나치기에는 부족함이 크다. 이 부분은 텍스트 밖에서 가져온 정보로 해소해 버릴 수도 있다. 역사주의적인 맥락에서 읽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앞의 모든 해석들의 기반이 무너지게 된다. 그렇게 하지 않고도 텍스트 내에서 읽어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특수한 역사적 맥락을 작동시키지 않고도 기호 사용의 보편적 맥락에 의해 효과가 발생하는 느슨한 유연성(有緣性)에 기대어 문화기호학적, 인류학적 단서들을 텍스트에 적용할 수 있을까? 그럴 수 있다면 텍스트 읽기는 좌절될 까닭이 없다.
그렇다면 해결되지 않은 ‘목놓아 부르다’와 ‘가난한 노래’는 어떻게 풀이해야 할까.
4.
- 접근 1 : 이 우주론적 전개에 대해서는 '송가(頌歌)'가 제격이다. 창세기 송가는 우주 앞에서 인간의 왜소함과 무력감의 경험을 좌절이나 분노가 아닌, 경외와 겸허의 자세로서 나서게 한다. '가난한'이나 '목놓아'의 의미는 이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접근 2 : 역사적 맥락은 시인의 삶을 고려할 때 불가피하게 적용할 수밖에 없는 시 해석의 기반이다. 다만 '가난한'은 외적 비교에 의해서든, 내적 충족성에 의해서든 간에 외부 요소의 억압이나 강제를 전제한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이는 성체 의 풍성함에 대비되어 있는 발단의 미미함, 혹은 단조함을 가리킨다고 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여전히 '목놓아'가 뜬금없어 보이기는 하지만, 이는 이쪽의 '노래'에 호응하는 저쪽의 '노래'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인과적 필연성을 대응시킨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해석의 맥락도 나와 타자의 대립보다는 필연적 과정에 대한 믿음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본다.
5.
나는 앞의 접근이 이 시 이해에 적합하다고 본다. 시인의 작품 전체를 보면, 우리가 시인의 삶을 보았을 때 주목하게 되었던 역사주의적, 저항적 맥락과는 또 다른 맥락이 읽혀진다. 그것은 의외로 다채로운 빛들을 가지고 있다. 낭만주의와 그 분파인 전원파도 그 중 선명히 보이는 빛의 하나이다.
'공부를 위한 준비 > 작품 더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품읽기] 틈, 김기택 (0) | 2023.05.13 |
---|---|
[작품읽기] 고재종, 초록 바람의 전언 (0) | 2023.04.29 |
[작품 읽기] 이수익, 회전문 (1) | 2023.04.22 |
[작품읽기] 그릇1, 오세영 (1) | 2021.04.07 |
[시집 읽기]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읽기 (0) | 2021.04.02 |
[작품읽기]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김영랑 (원고) (0) | 2021.03.10 |
[작품읽기] 이런 시(詩), 박목월 (0) | 2017.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