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빌딩 입구 회전문 속으로
사람들이 팔랑팔랑 접혀 들어간다
문은 수납기처럼 쉽게
후루룩 사람들을 삼켜버리고
들어간 사람들은 향유고래의 입 안으로 빨려 들어간
물고기 떼처럼 금방 잊혀진다
금방 잊혀지는 것이 그들의 존재라면
언젠가는 도로 토해지는 것은 그들의 운명,
그들은 잘 삭은 음식 찌꺼기 같은 풀린 표정으로
별빛이 돋아나는 시간이나, 또는 그 이전이라도 회전문 바깥으로
밀려난다
그렇다니까, 그것은 향유고래의 의지 때문이 아니라
빨려들어간 물고기 떼의 선택 때문이지
오로지 그들 탓이라니까
그러나 대형 빌딩은 이런 무거운 생각과는 멀리 떨어져
하루종일 팔랑팔랑 회전문을 돌리면서
미끄러운 시간 위에서 유쾌하게 저의 포식을 노래한다
룰루랄라 룰루랄라 룰룰루……
지금은 회전문의 움직임이 완고하게 멈춘
시간, 대형 빌딩은 수직의 화강암 비석처럼 깜깜하게
하늘에 떠 있다
낮에 삼켰던 사람들의 머리에서 쏟아져 나온 생각과
말들, 일거수일투족의 그림자, 그들의 홍채와 지문까지
다시 기억을 재생하고 판독하고 복사하고 지우면서
대형 빌딩은 눈을 감고도 잠들지 않는다
회전문은 묶여 있어도, 그렇다고 쉬는 것도 아니다
- 《시인시각》 2006년 겨울호
고대 신앙의 거대 신상이 산업사회에 오면 메가 빌딩으로 변신한다. 맹목적이고 물신적인 거대 신상의 역할이 메가 빌딩으로 넘겨졌을 때, 눈빛 하나로 목숨이 댕강 날아갔던 노예들의 삶이 재연된다. 메가 빌딩은 처음에는 거대 굴뚝을 가진 큰 공장의 모습이 되어 있다가 성냥갑 같은, 닭 공장 케이지 같은 대단지 아파트의 모습이 되어 있다가 대형금융, 산업그룹의 본사, 본부 건물들이 모인 여의도, 테헤란로, 이런 곳의 메가 시티로 바뀌었다. 이쯤이면 아침, 저녁의 출퇴근 장면은 공장에서 들고나는 것이나 아파트에서 들고나는 것, 그리고 이 대형 빌딩군에서 들고나는 것이 별반 다를 게 없어 보인다. 기계에 소외되었던 것처럼 전체주의적 시스템의 노예가 된 사람들의 모습을 떠올리는 것도 어렵지 않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는 대놓고 '유쾌하게'를 외친다. 아이러니를 위한 게 아니라는 듯이 사람들은 '팔랑팔랑', 문은 '후루룩', 대형 빌딩은 '룰루랄라 룰루랄라 룰룰루' 움직인다. 사람들을 삼킨 대형 빌딩은 향유고래마냥 의지가 없다. 문으로 들어간 사람들이 잊혀지는 것은 누구로부터인가? 향유고래 같은 대형 빌딩은 무거운 생각은 하지 않는다.
그리고 밤이 되자, 대형 빌딩은 "낮에 삼겼던 사람들의 머리에서 쏟아져 나온 생각과 말들, 일거수일투족의 그림자, 그들의 홍채와 지문까지 다시 기억을 재생하고 판독하고 복사하고 지"운다. 이 부분(2연)에 와서 목소리의 어조는 사뭇 다르게 바뀌는데, '완고하게 멈춘', '비석처럼 깜깜하게', 그리고 '잠들지 않는다', '쉬는 것도 아니다' 같은 표현은 앞(1연)에서의 발랄함을 싹 씻은 듯, 혹은 그 발랄함 뒤에 존재하는 본체를 드러내는 듯, 지나칠 정도로 차분하다.
이 차이는 어디서 발생하는것일까?
우선은 낮과 밤의 차이, 그리고 사람들이 들고나는 전체를 조망할 때의 안정감과 불 꺼진 건물의 어두운 실루엣을 느끼는 불안감의 차이 같은 것이 배경 설정 상 확인된다. 그러니까 이 대형 빌딩의 진짜 힘은 사람들을 집어 삼킬 때 발휘되는 게 아니라 사람들을 내뿜고 그 안에는 아무도 남지 않게 되었을 때라는 뜻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진짜 힘은 밤이 되면서 국회의사당 앞 마당이 열리며 로보트 태권 V가 날아오르듯, 지구가 있는 자리에 초공간 고속도로를 내기 위해 지구를 파괴하려고 막 떠오른 보고인들의 공병함대*가 떠오르듯, 화강암 비석처럼 그 거대한 구조체가 떠오른다. 이 공중 부양의 맥락은 좀 뜬금 없다. 그 대형 빌딩으로는 위압적으로 누르고 가두고 폐쇄해 버리는 이미지가 클 수밖에 없고 그것이 상승적 이미지와 연결될 계기는 보이지 않기 떄문이다. 그 대신 이 공중 부양의 상황성은 '판옵티콘(panopticon)'**의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연상시키고 있는데, 화강암 비석이 주는 소통 불능성, 수직의 위계성, 깜깜한 밤의 위압성 등이 모두 이것과 연동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한 가지 더 읽을 부분이 남아 있다.
화자의 진술대로라면 대형 빌딩은 사람들을 집어 삼키는 게 목적이 아니다. 물론 향유고래라면 그렇게 빨아들인 온갖 수중 생물들-개중에는 포식자 백상아리도 있고 대왕오징어도 있다고 하지만-을 섭취하고 잔해물을 뿜어대겠지만, 비유와는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게 사람들은 떄가 되면 다시 건물 밖으로 밀려난다. 이렇게 사람들이 들고 나는 것은 길가에 수채 구멍이 있고 비가 오면 빗물이 이리저리 흐르다가 그 근처가 되면 그저 빨려들어 강으로 뿜어지는 것과 별 다를 바 없다. 하필 그때 거기에 있었던 것이 문제라는 논리는 여기서 나온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과정의 분위기는 발랄할 수 있는 것이다. '잘 삭은 음식 찌꺼기' 같이 되어 버렸던 사람들은 이제 집에 갈 수 있고 쉴 수 있게 되었다고 안도하고 떠나지만, 건물은 이들을 떠나지 못하도록 붙잡지 않는다.
그런 다음, 이 건물의 진짜 기능이 시작된다. 낮에는 하루 종일 회전문을 돌리기만 했던 이 대형 건물은 밤이 되면 그 문을 멈추고 그 안에 들어갔었던 사람들의 기억을 '재생하고 판독하고 복사하고 지우면서' 감시하고 관리한다. 그러니까 이 대형 건물의 회전문은 출입구이고 포획틀이지만, 동시에 스캐너이고 OCR이고 복사기이고 파쇄기이면서, 검색 장치이고 감시 장치이며 통제 장치이기도 한 것이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왜 시인이 이 작품의 제목을 '대형 빌딩'이나 '수직의 화강암 비석', 혹은 '향유 고래' 같은 것으로 정하지 않고 '회전문'으로 정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대형 건물'은 통제적 사회를 은유하지만 그것을 작동시키는 시스템은 '회전문'이며, 회전문이 통제 시스템으로서 기능하기에 대형 건물은 비로소 통제적 사회로서 존재하게 된다는 것이다..
* 대충 아랫부분이 이렇게 생겼다.
** 판옵티콘(panopticon)은 18세기 말 영국의 공리주의 법학자였던 제레미 밴덤이 고안한 감옥 건축양식으로서 중앙의 감시탑을 향해서만 문이 놓인 원형, 혹은 방사형의 감옥 구조를 갖는다. 적은 인원이 배치되지만 감시자인 간수는 높은 곳에서 감옥을 감시하고 반면 죄수는 간수를 보지 못하는, 즉 보이지 않는 존재에 의한 다수의 감시가 핵심 개념을 이룬다.
'공부를 위한 준비 > 작품 더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품읽기] 틈, 김기택 (0) | 2023.05.13 |
---|---|
[작품읽기] 고재종, 초록 바람의 전언 (0) | 2023.04.29 |
[작품읽기] 광야, 이육사 (0) | 2021.04.09 |
[작품읽기] 그릇1, 오세영 (1) | 2021.04.07 |
[시집 읽기]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읽기 (0) | 2021.04.02 |
[작품읽기]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김영랑 (원고) (0) | 2021.03.10 |
[작품읽기] 이런 시(詩), 박목월 (0) | 2017.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