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학 57(2017.12)
일반 논문
■ 문학 사회사적 측면에서 본 15~16세기 소설독서문화 연구 / 김미정 9
■ 트릭스터 정만서의 말하기 방식과 상상력 발현 / 신동흔 53
■ 재외동포 학습자를 위한 ‘정체성’ 교육 방안 연구-윤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 조수진 87
■ 국어교육의 문학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조하연 117
■ 진채선의 활동과 기생점고 대목의 의미 / 최혜진 153
자유논문
■ 영화만들기를 활용한 교양교육 수업 사례와 성과 연구 / 강옥희 181
■ ‘자기 됨’을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원형심리학적 접근 시론 / 최인자 215
문학교육학 56(2017.9)
일반 논문
■ 문학 기반 융복합형 논술 문항 개발 시고 / 정재찬 9
문학교육학 55(2017.6)
일반 논문
■ 국어과 교육과정 문해력의 관점에서 바라본 초등 교사의 성장-‘마당을 나온 암탉’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김미혜․김유미 9
■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선택과목 ‘문학’의 변화와 개선 방안 / 김정우 47
■ 문학 교수학습 용어 ‘생각’과 ‘느낌’에 대한 비판적 검토-2011 개정, 2015 개정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지남 85
■ 2015 개정 ‘문학’ 교육과정 적용의 쟁점 탐색 / 김현정 121
■ 문학 교육과정 성취기준 해석과 교과서 구현 방식 / 양정실 149
■ 심미적 경험으로서의 소설 교육 / 오윤주 173
■ ‘비현전성’을 고려한 황지우 시 읽기 방법 / 오정훈, 김대군 207
■ 창의적 시 해석 방법 연구 / 우신영 245
■ 시민교육을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 윤호경 287
■ 생태적 자아실현 과정의 문학 교육과정 내용 준거 / 전상우 325
문학교육학 54(2017.3)
일반 논문
■ 아동 성장의 관점에서 본 용감한 아이린의 스토리텔링 / 나선희 9
■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시교육의 구체화-텍스트 선정을 중심으로 / 남지현 33
■ 시민 교육으로서의 소설 교육 -아르케 없음의 아르케를 향하여 / 오윤주 71
■ 아동문학에 나타난 8.15 -‘해방’과 ‘건국’의 문제를 중심으로 / 원종찬 105
■ 조선 후기 ‘젠더(gender)’ 규범의 소설적 형상화와 교육적 의미-<창선감의록>을 중심으로- / 정보미 155
■ 1930년대 정인보, 김소월의 전통 한시 국역(國譯) 연구 / 정소연 191
자유 논문
■ <강씨 접동전>(국립한글박물관소장, 박순호 구장본) 연구 / 서유경 231
■ 고전문학 제재 수록의 이면과 그 배경의 탐색-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 최홍원 255
문학교육학 53(2016.12)
기획 논문: 문학교육, 사회적 어젠다에 답하다
■ 통일한국에 대한 문학교육의 대응 / 김미영 9
■ 노동문학의 역사적 변화와 문학교육 / 김성진․김미혜 39
■ 과학 기술 문명의 발전과 문학교육의 대응 : 시선추적장치를 통해 본 지능정보사회 시 교육의 한 가능성/ 김정우, 정소연, 박유진, 편지윤 77
■ 문학의 시대와 문학 문식성 / 김중신․유미향 121
■ 학습자의 치유 경험을 위한 시 감상 연구 / 김혜영․나희덕․조희정 147
■ 인구 구조의 변화와 평생교육 사회, 그리고 문학교육: 전북 지역을 구체적 예로 하여 / 한창훈․김승우 183
일반 논문
■ 책 읽어주기와 토의의 연계를 통한 문학 수업 실행연구/ 남지현 213
■ 문학 교육에서의 ‘반응 중심 학습’에 대한 이론적 재고/ 정정순 253
■ 소설사 교육의 한 양상-근대소설로의 이행단계와 기차모티프를 중심으로 / 김동환 281
문학교육학 52(2016.9)
일반 논문
■ 현대시 학습 독자의 해석 가설 구성에 관한 연구 / 강민규 9
■ 몸의 상상력과 ‘몽실언니’ 교육 / 강진우 51
■ 교양소설로서의 ‘광장’과 교육적 의미 / 김미영․김수지 83
■ 문학 평가 제재에서의 줄거리 활용 방안 연구-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현대소설 제재를 중심으로 / 마운용 113
■ 문학적 관습을 통해서 본 「경설(鏡說)」의 주제고-교육 현장의 논의를 아울러 / 박재민 143
■ 시 해석 교육에서 학습자의 자질에 관한이론적 고찰-바흐친의 초기 미학을 중심으로 / 유진현 167
■ 통일문학교육 이념으로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연구 / 임인화 193
■ 이지란(李之蘭) 시조의 맥락과 함의 / 임주탁 223
■ 설(說)을 대상으로 한 비판적 사고 교육의 실행 가능성 탐색-<슬견설(虱犬說)>과 <경설(鏡說)>에 대한 독자 반응을 중심으로 / 최홍원 253
■ 재미있는 고소설 교육을 위한 실천적 수업활동의 실제 / 이민희 299
■ 문학 교육과 미적 감수성 신장 -바람 모티프를 중심으로 / 조용훈 337
문학교육학 51(2016.6)
일반 논문
■ 수능 문학 영역 평가 문항의 양호도와 개선 방안에 대한 조사 연구 / 남민우․민재원․이인화 9
■ 교과서를 통해 본 <무정> 교육 연구-2011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박성근 49
■ 이현주 아동서사문학에 나타나는 강압적 질서에 대한저항과 대안적 사유-’웃음의 총’과 ‘알게 뭐야’를 중심으로 / 박성애 81
■ 문학 교과서가 학습자의 정서를 다루는방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2009개정 국어와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박치범 109
■ 문학 문식성의 본질, 그 가능성을 위하여 -문화, 창의성, 정의(情意)를 중심으로 / 윤여탁 155
■ 기술적 장르 개념을 활용한 시 읽기 방법 연구-기형도 시를 중심으로 / 이종원 177
■ 구어체 소설의 문학교육적 가치 / 박기범 209
■ 잘 알면서도, 잘못 알았던 시조-시조 담론에서의 오류와 오개념을 찾아서 / 최홍원 235
문학교육학 50(2016.3)
기획 논문 : 음악과 문학, 소통과 융합을 위하여
■ 時調詩와 歌曲唱 선율의 상관성 -황진이 시조를 중심으로- / 박연호 9
■ 한국 현대시의 운(율)문적 성격에 대한 성찰 / 이명찬 33
■ 문학과 음악에 대한 범교과적 접근 / 이상아․김창원 57
일반 논문
■ 문학사적 안목 형성을 위한 문학사 교육의 구도 모색 / 오윤주 87
■ 현덕 작품의 공간적 특징 연구 / 이근영 117
■ 고전서사 속 결혼과 이혼에 대한 대학생의 반응과 ‘합류적 사랑’ 이야기로서의 <조신>, <검녀>, <부부각방>의 의미 / 하은하 139
■ 그룹 ‘들국화’ 노랫말의 시학적 의미 / 김중신 175
■ <주봉전>을 읽는 시간 / 서유경 197
문학교육학 49(2015.12)
기획 논문-“문학교육, 세계를 생각하다”
■ 국어 교사를 위한 세계문학 교육 / 김미영
■ 상호문화주의와 세계문학 교육 / 김성진
■ 독일의 문학교수법-이론적 논의와 적용을 중심으로 / 이광복
일반 논문
■ 일제강점기 ‘國語讀本’(일어)과 차별적 위계 교육 / 강진호
■ 현대시 교육에서 시론의 위치 -반어와 역설을 중심으로 / 김남희
■ 소설 읽기 전략으로서의 여로구조 읽기 / 김동환
■ 설화 <새털 옷 입고 왕이 된 남자>에 대한 부정적 반응의 경향성과 공감적 이해의 실마리 / 김정애
■ 현대소설 평가 제재의 텍스트적 완결성 분석 연구-대학수학능력시험 및 모의 평가를 중심으로 / 마운용
■ 교양교육 제재로서 북한 과학환상소설 역할 연구-’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 수록본을 중심으로 / 임인화
■ 김억의 한․중 한시 번역 비교와 그 문학사교육적 의미 / 조성윤․정소연
■ 현대시 교육에서 은유의 문제 / 최미숙
■ 중등교육에서 문학과 경제의 통합교육 필요성 시론-「날개」 「백치아다다」 「추일서정」에 나타난 화폐표상을 중심으로 / 한만수
■ 1980년대 모더니즘(Modernism) 시의 교육적 가능성 고찰-황지우, 오규원을 중심으로 / 한미훈
문학교육학 48(2015.9)
일반 논문
■ 상징 기반의 고전소설 감상 교수․학습 연구 -<이생규장전>을 중심으로 / 강문식
■ 다문화 영상 및 도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이주, 새로운 뿌리를 찾아서’ 주제를 중심으로 / 김미혜․이은주․박윤경
■ 문학교육 연구의 주제와 방법에 대한 메타 점검 -’문학교육학’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김지남․박나현․김창원
■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 교육 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내용 성취 기준의 서술어 분석을 중심으로 / 박치범
■ 다산(茶山)의 과학 글쓰기 방법 연구 -‘도설(圖說)’을 중심으로 / 이은민
■ 현대시 교육에서의 운율 교육 내용 재설정 연구-운율 개념을 중심으로 /정정순
자유 논문
■ 김수영의 박인환 ‘관(觀)’ 재해석 / 남민우
■ 소설 텍스트의 문장 복잡도 연구 -자동화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대영
문학교육학 47(2015.6)
일반 논문
■ 이미지즘 시의 공간 연출(演出)과 시 읽기 교육-정지용과 김광균의 시를 중심으로 / 강민규
■ ‘통일교육’을 위한 ‘문학’ 교과서 개선방안 연구-2012 고시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 김미영
■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거리에 대한 비판적 성찰-사설시조 향유층 논란을 중심으로 / 류수열․이지선․김세림
■ 모더니즘의 특징에 주목한 시 교육 방법 / 오정훈
■ 설화 <새끼 서 발>에 나타난 과장과 허언의 심리적 의미와 효용 / 조은상
■ 탄로가의 진술방식과 태도의 변주 / 최홍원
자유 논문
■ 이론 개입형 소설 수업의 설계와 운용 -‘사건’과 ‘주인공’ 개념을 중심으로 / 김동환
■ 문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문학 감상 / 김현정
■ 서사(이야기)는 환경이자 조건이다 / 조용훈
■ 변화와 성장의 서사로 <단군신화> 읽기 / 조희정
문학교육학 46(2015.3)
기획논문
■ 은유 개념의 허상과 실상 / 류수열․이지선
■ 서사 향유 현상으로서의 고전소설과 온라인 게임의 문학사적 의미 / 정소연
■ 이상(李箱)과 칸딘스키의 상호텍스트성 탐구-<권태>를 중심으로 / 정재찬
■ 소설교육에서 <사랑손님과 어머니>의정전화 양상과 개선 방향 / 정진석
일반 논문
■ <조선어독본>과 ‘납세’의 서사 -세금 내는 국민 만들기 / 김소륜
■ 체험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그림책의 상상적 경험 / 김태호
■ 생태주의 비평 교육의 지향-국어과 중심 통합적 비평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며 / 김혜련
■ 만문만화 <모던 심청전> 연구 / 서유경
■ 근대 전환기 국어(조선어) 독본(讀本)과 근대적 문학 교육의 형성 / 이정찬
■ 신체화된 마음 관점에서 본 현대시 교육 방안 / 이지훈
■ <소현성록>과 <현몽쌍룡기>에 나타난여성 인물 형상화의 계승과 변이 양상 / 홍정원
주제어 목록
'공부를 위한 준비 > 단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투리] 잊을 수 없는 노래 가사 : '화(和)' (0) | 2021.03.21 |
---|---|
[시쓰기] 시 쓰기를 점검할 때 고려할 만한 기준 (0) | 2021.03.08 |
[개념] 완전한 존재로서의 학생 (1) | 2018.06.25 |
[지하철시] 바위사리, 박순호 (0) | 2015.12.29 |
[지하철시] 채송화, 조명제 (0) | 2015.12.29 |
[지하철시] 밥상, 주영헌 (0) | 2015.12.29 |
[조언] 산문을 단서로 활용한 李箱의 시 교육 가능성 (0) | 2015.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