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 사회적 언어를 배우는 것이다
1.1. 언어 교육의 내용 Ⅰ
◼ 교육의 대상이 되는 언어는 기본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을 일차적 기능으로 삼는다
→ 언어 교육은 사회적 언어를 대상으로 한다
◼ 사회적 언어로서 교육의 내용이 되는 것은 의사소통 외에도 사고, 창안, 그리고 문화 향유와 계승 등이 있다
→ 사회적 언어 밖의 언어인 사적 언어는 교육의 간접적 영향 내에 있지만 직접 교육되지는 않는다
1.2. 언어 교육의 내용 Ⅱ
◼ 사고의 기능은 의사소통의 기능보다 교육 제도를 넘어선 부분에서의 학습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직관과 통찰은 교육 제도가 자동적으로 부여하는 언어적 능력이 아니다.
◼ 사회적 기능에 따라 언어의 학습 시기와 성격이 달라진다
→ 모어 교육은 삶의 공동체 내에서 오랜 시간을 통해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모든 인간은 좋은 의미이든 나쁜 의미이든 ‘국어교사’이다)
2. 공적 언어를 배우는 것이다
2.1. 공적 언어에 대한 이해
◼ 태생적 삶의 공동체에 기반하지 않는 사회적 언어
◼ 기본적으로는 계약과 중재의 언어적 성격을 갖는다
◼ 언어 사용은 원칙적으로 완결된 맥락을 갖출 것을 요구 받는다
◼ 공식적 언어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2.2. 공적 언어의 교육
◼ 규범적 교육의 영역에 속해 있다
◼ 언어 교육의 내용 중 교육 내용의 심급이 비교적 분명하다
→ 학교급과 학년에 따른 내용 선정이 가능하다
◼ 교육에 대한 접근성이 비교적 폐쇄적이고 교육의 방식이 어렵다
◼ 수준과 위계가 상향될수록 교양과 전문성의 심화로서 해석되는 경향을 갖는다
→ 직업군에 따라 전문인과 교양인의 자격이 부여된다
2.3. 공적 언어 교육으로서 국어교육의 특징
◼ 체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언어를 지향한다
→ 교육의 근본 성격
◼ 사회적 언어로서의 네 가지 기능이 교육적으로 편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 저학년은 의사소통 중심, 고학년은 문화 중심
cf. 내 할머니의 어린 손녀 이야기
◼ 제도와 관습을 유지하는 매개적 기능을 한다
→ 문화자본 재생산의 기능을 한다
2.4. 공적 언어 교육으로서 국어교육의 문제점
◼ 학교급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적 언어 교육의 성격은 강화된다
→ 더 제한된 학생들에게 더 높은 수준의 공적 언어 교육이 이루어진다
◼ 계급 재생산의 제도적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 제도와 관습에 근거하여 언어 사용의 제약이 내면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 사적 언어의 교육적 지위
|
'공부 중 > 국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연] 학습자의 국어교육, 독자의 국어 교과서 (1) | 2023.04.07 |
---|---|
[국어교육론] 국어교육을 시작하는 열두 개의 질문 (4) : 국어교육은 영역 특수적 교육인가, 영역 일반적 교육인가? (0) | 2021.04.05 |
[국어교육론] 국어교육을 시작하는 열두 개의 질문 (3) : 내 기억 속에서 국어교육은 무엇인가? (0) | 2021.04.05 |
[국어교육론] 국어교육을 시작하는 열두 개의 질문 (2) : 왜 ‘국어교육학과’가 아닌가? (0) | 2021.04.05 |
[국어교육론] 국어교육을 시작하는 열두 개의 질문 (1) - 왜 국어교육과에 지원했는가? (0) | 2021.04.05 |
[발표준비] 언택트 시대, 국어교육의 방법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 것인가 (0) | 2021.03.03 |
[강연] 사범대생을 위한 교육학 논술: 다섯 가지 포인트로 접근하기 (0) | 2017.11.17 |